📌 한눈에 보기
1️⃣ 기초연금이란?
노후 빈곤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만 65세 이상 어르신께 매월 현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2025년 기준연금액은 물가·임금 상승률을 반영해 월 최대 34만 2,510원으로 인상됐습니다.
2️⃣ 2025년 자격조건 자세히 보기
구분단독가구부부가구
연령 | 만 65세 이상(생일 전 1개월부터 신청 가능) | 동일 |
소득인정액 (월) |
2,280,000원 이하 | 3,648,000원 이하 |
국적·거주 | 대한민국 국적 & 국내 거주(주민등록) | 동일 |
제외 대상 | 공무원·군인·사학·우체국 직역연금 수급권자 및 배우자 (단, 재직기간 10년 미만·일시금 수령 후 5년 경과 등 예외 있음) |
동일 |
- 소득인정액 = (근로소득–112만원)×0.7 + 기타소득 +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
소득인정액 계산 예시
- 근로소득 150만 원 → (150–112)×0.7 = 26.6만 원
- 임대소득 20만 원 → 그대로 합산
- 재산 5,000만 원(환산율 4%) → 16.7만 원
- 총 소득인정액 = 63.3만 원 → 단독가구 기준액 이하라 수급 가능
3️⃣ 신청 방법 3가지
경로준비물 & 절차특징
주민센터 방문 | 신분증, 통장 사본, 배우자 금융정보제공동의서, 위임장(대리 시) | 가장 보편적, 서류 현장 작성 가능 |
국민연금공단 지사 | 동일 | 수급 상담 & 모의계산 지원 |
온라인(복지로) | 공동/금융인증서, 본인명의 휴대폰, 통장 사본 이미지 | 24시간 접수, 대면 없이 완료 |
- 신청 시기: 연중 가능. 만 65세 생일 1개월 전부터 사전 신청하면 생일이 속한 달부터 받습니다.
- 처리 기간: 평균 30일 내외(조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).
💡 꿀팁
-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미리 신청서 작성하면 대기시간 단축
- 국민연금공단(☎1355) 전화예약 서비스로 방문 전 상담 가능!
4️⃣ 필수·추가 서류 체크리스트
구분서류
필수 | 주민등록증(또는 운전면허·여권), 통장 사본 |
배우자 있음 | 배우자 금융정보제공동의서 |
임차 거주 | 전·월세 계약서 |
대리 신청 | 신청서·위임장, 대리인 신분증 |
선택 | 수급희망이력관리 신청서 – 탈락해도 5년간 매년 재심사 알림 |
📌 꿀팁
- 수급희망이력관리에 체크해 두면 탈락해도 문자로 재신청 안내
- **복지로 ‘소득인정액 모의계산’**으로 미리 확인 가능
- 부부 모두 받을 경우 한 분 명의 통장으로 합산 지급 가능!
💡 꿀팁
- 문자 안내 동의하면 수급 여부 결정 결과를 빠르게 확인
- 기초연금 수급자 → 건강보험료 경감, 국가장학금 가산점도 적용될 수 있음
5️⃣ 지급액·지급일 안내
구분최대 지급액(월)지급일
단독 | 342,510원 | 매월 25일(주말·공휴일이면 앞당겨 지급) |
부부 | 548,000원(부부감액 적용 후) | 동일 |
지급액은 소득인정액 수준에 따라 차등 조정되며, 신청 달부터 소급 지급합니다.
💡 꿀팁
- 복지로 모의계산 기능으로 수급 가능성 체크 가능!
- 자녀가 대리 신청 가능 – 위임장만 잘 챙기면 간편하게 신청!
6️⃣ 자주 묻는 질문(FAQ)
질문답변

신청 후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? | 대상 결정이 나면 다음 지급일(25일)에 일괄 입금됩니다. |
직역연금 일시금만 받고 퇴직했는데 받을 수 있나요? | 일시금 수령 후 5년 지나면 수급 가능 |
소득·재산이 변동되면? | 연 1회 자동 반영되며, 변동 사실을 30일 내 신고 |


7️⃣ 한눈에 보는 신청 절차
- 자격 확인 (모의계산 & 상담)
- 서류 준비 (신분증·통장 등)
- 신청 (주민센터/공단/온라인)
- 소득·재산 조사
- 결정 통보
- 첫 지급 (매월 25일)
마무리: 놓치면 손해, 지금 준비하세요!
만 65세가 다가온다면 오늘 바로 **복지로(bokjiro.go.kr)**에서 모의계산을 돌려보시고, 가까운 주민센터·국민연금공단(☎ 1355)에서 상담받으세요.
반응형
'ALL OF THINGS >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년 이후 필수 영양제 BEST 5, 정말 효과가 있을까? (2) | 2025.05.06 |
---|---|
해외직구 초보 가이드: 결제수단부터 배송까지 완벽정리 (2) | 2025.04.19 |
900만원 퇴직금 체불, 내가 직접 임금체불 신고한 이야기 (0) | 2025.04.04 |